지재권의 설정등록료와 연차등록료의 감면

안녕하세요~
지식재산 서포터 ‘캐치어스’ 입니다.
저번 시간에 지재권(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설정등록료와 연차등록료의 기본료와 가산료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저번 시간의 내용을 확인안하셨던 분들을 위해 아래 그림을 참고하시면 각 년마다 설정등록료와 연차등록료가 어떻게 설정되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설정등록료와 연차등록료를 봤을 때, 생각보다 부담해야되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다행히도 설정등록료와 연차등록료 역시 출원할 때 마찬가지로 일정 기준에 따라 감면 혜택이 주어집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설정등록료와 연차등록료의 감면을 받을 수 있는 기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설정등록료의 경우,
100%의 감면혜택은,
국유특허이거나, 국가기관,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 초/중학생은 발명자와 출원인이 동일할 때 받을 수 있습니다.
85%의 감면혜택은,
만19세 이상 만30세 미만이거나, 만65세 이상이며 발명자와 출원인이 동일할 경우 받을 수 있습니다.
70%의 감면혜택은,
개인, 소기업, 중기업일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50%의 감면 혜택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공동연구일 경우와, 공공연구기관, 전담조직 지자체 등이 감면 대상이 됩니다.

4~6년차 연차등록료의 경우,
발명자와 출원인이 동일한 개인, 소기업, 중기업, 공공연구기관, 전담조직, 중견기업일 경우, 30%의 감면 혜택을 제공합니다.

우선 설정등록료와 연차등록료가 어느 정도 되는지 먼저 파악하신 후에, 본인이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건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게 좋겠죠?
감면을 받냐 안받냐에 따라 지불해야 하는 비용은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꼭 확인해보고 현명하게 혜택을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이상으로, 지재권(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의 설정등록료와 연차등록료의 감면받을 수 있는 조건과 혜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유익한 지재권 정보와 꿀팁과 함께 찾아오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