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식재산 서포터 ‘캐치어스’ 입니다.
상표를 등록받기 위해서는 다른 상호와 차이가 명확하여 식별력을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저번 시간에 말씀드렸는데요,
그런데, 유사한 기준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상표의 유사성의 기준이 무엇인지, 사례와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상표가 유사하다고 하는 것은….?
상표의 외관, 칭호 관념을 전체적, 객관적, 이격적으로 관할하여 일반수요자의 직관적 인식을 기준으로 상품출처의 오인혼동을 초래할 염려가 있는 경우를 뜻합니다.

칭호가 유사한 예로는,
TYRE PLUS ⇔ TIRE PLUS, KOLON ⇔ KOULONG 와 같이 칭호가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외관이 유사한 예로는,
POCA CHIP ⇔ POCACHIP, MYPROCEL ⇔ MYPRODEL 와 같이 외관이 유사한 경우에도 식별력이 없다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관념이 유사한 경우는,
임금 ⇔ 王, KING, 평화 ⇔ PEACE 와 같이 유사한 뜻을 내포하는 경우와,
STAR ⇔ NEW STAR,  NAWOO ⇔ NAWOO TECH 와 같이 특정 단어에 결합되는 경우 식별력이 없다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즉, 기족에 등록된 상표들 중에서 본인이 출원하고자 하는 상표와 유사한 상표가 있는지, 식별하는데 모호한 유사 상표가 있는지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겠죠?
기존의 상표들을 꼼꼼히 살펴보시고 모두가 본인의 상표를 잘 등록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으로, 상표의 유사 기준과 사례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유익한 지재권 정보와 꿀팁과 함께 찾아오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